전체 글

🐾 사람 좋아, 개발 좋아 🐾 궁금한 건 끝까지 파고들고, 배운 건 즐겁게 나누는 개발자의 놀이터
문제설명 사진들을 보며 추억에 젖어 있던 루는 사진별로 추억 점수를 매길려고 합니다. 사진 속에 나오는 인물의 그리움 점수를 모두 합산한 값이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가 됩니다. 예를 들어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may", "kein", "kain"\]이고 각 인물의 그리움 점수가 \[5점, 10점, 1점\]일 때 해당 사진의 추억 점수는 16(5 + 10 + 1)점이 됩니다. 다른 사진 속 인물의 이름이 \["kali", "mari", "don", "tony"\]이고 \["kali", "mari", "don"\]의 그리움 점수가 각각 \[11점, 1점, 55점\]\]이고, "tony"는 그리움 점수가 없을 때, 이 사진의 추억 점수는 3명의 그리움 점수를 합한 67(11 + 1 + 55)점입니다. ..
문제 설명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2086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s의 각 위치마다 자신보다 앞에 나왔으면서, 자신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같은 글자가 어디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s="banana"라고 할 때, 각 글자들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읽어 나가면서 다음과 같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b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a는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n은 처음 나왔기 때문에 자신의 앞에 같은 글자가 없습니다. 이는 -1로 표현합니다. - a는 자신보다 두 칸..
블로그를 참 오랜만에 쓰는 것 같다 !! 항상 1일 1블로그를 해오자 해오자 생각은 했지만 프리프로젝트와 메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너무 정신이 없어서 블로그 쓸 생각을 못했던 것 같다 ... ! 그래서 오늘은 한번 미뤘던 회고를 써보고자 한다 . 프리프로젝트는 한마디로 아쉬움 100% 였다. 아쉬움이 가득했던 프리프로젝트 회고를 지금부터 시작해보겠다 프리프로젝트 회고 시작 ! 프리프로젝트는 스택오버플로우 사이트를 클론코딩하는 것이었다. 프론트 3명 ,백엔드 3명 6명에서 프리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코드스테이츠를 통해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는 처음이라 긴장도 되고 기대도 되었다. 프론트엔드 스택으로는 typescript, react, recoil , tailwind , styled-component , ax..
· Git
프로젝트에 들어가기에 앞서 혼자 레포지토리를 파서 개발을 할 경우 main 브랜치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겠지만 여러 사람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충돌을 막기 위해 브랜치를 새로 생성해서 작업을 진행해야한다. 브랜칭(branching) 기존 개발 중인 메인 개발 코드를 그대로 복사하여 새로운 기능 개발을 메인 개발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 할 수 있는 버전 관리 기법 처음에 GitHub Repository를 생성하면 나오는 main 브랜치에서만 작업을 하다가 새로운 기능 개발을 위해 feature 브랜치를 새로 생성하는 경우, 기존 main 브랜치에서의 작업은 유지하고 새로운 feature 브랜치에서 자유롭게 코드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음 . 브랜치 생성하기 / 변경하기 (git switch) 이때..
프로젝트에 앞서 우리 팀은 타입스크립트로 프로젝트를 만들기로 했다. 타입스크립트에 대해 잘 알지 못해 걱정이 앞서지만 차근차근 공부하며 진행해볼것이다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 몇가지 기본 설정이 필요하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놓을 것이다 ! 1. 먼저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하고 vscode 에서 실행 2. 새로운 프로젝트를 초기화 npm init -y init 은 초기화한다는 것을 알겠는데 -y 옵션은 뭐지 ? => 기본값을 설정 후 package.json 파일이 생성 npm init -y 명령은 npm 프로젝트를 초기화하는 명령입니다. -y 플래그는 초기화 도중 나오는 모든 프롬프트에 자동으로 기본값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으로 npm init 명령을 실행하면 프로젝트..
목표 1년안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성공하기 자기주도 학습을 통한 공부 습관 기르기 ( 매일 TIL 작성) 연봉 3600이상 취업 Keep 1. 블로그로 기록하는 습관 2. 공식 문서 찾아보는 습관 Problem 1. 핸드폰 사용 시간이 너무 김 2. 빈번한 친목활동 3. 낮잠 자는 습관 4. 주말에 공부를 안함 5. 아침에 잘 일어나지 못함 Try 1. 낮잠 안자기 ! 피곤해도 참고 일찍자기 !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은 잠 잘때만 ! ) 2. 주말에 공부하기 ! ( 4시에 퇴근 후 저녁 먹은 후 부터 복습하기 ) 3. 핸드폰 사용시간 정해두고 하기 (불필요한 어플 제거하기 ) 지난 섹션을 마무리하며 썼던 회고와 비교하자면 Keep 이 줄고 Problem 이 많아졌다 .. 즉 이번 섹션에서는 열심히 했다고..
JavaScript Hoisting과 Temporal Dead Zone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설명하세요. React Virtual DOM이 무엇이고, Virtual DOM이 어떤 면에서 좋은가요? Class Component와 Function Component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React Hook의 사용 규칙에 대해 설명하세요. 자료구조 Stack과 Queu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Tree와 Graph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이진 탐색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나요? 타입스크립트 TypeScript는 정확히 무엇이며 JavaScript와 어떻게 다른가요? TypeScript를 사용할 때 어떤 장단점이 존재하나요? TypeScript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해 주세요. 위의 질문 목록중 카테고리 별 ..
· TypeScript
오늘은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한지 따끈따끈한 2일차가 되는 날이다 ! 타입스크립트 문법 중 열거형 ,인터페이스 ,타입 별칭에 대해 배우고 익혔다. 헷갈렸던 부분이나 다시 알아두면 좋을 부분에 대해 정리해볼것이다 ! 타입스크립트 열거형 (Enum) 특정 값의 집합을 정의할 때 사용됨 , 문자형 열거형과 숫자형 열거형을 지원 enum Color { Black, Red, Green, } 위의 예시에는 Color 라는 열거형을 정의하고 값으로는 Black, Red, Green 세개의 값을 가짐 숫자형 열거형 디폴트 값으로 숫자형을 사용하며 값은 자동으로 0 부터 1씩 증가하는 형태 , 또한 값을 수동으로 지정할 수도 있음 enum Color { Red = 1, Green = 2, Blue = 4, } 문자형 열거형..
· TypeScript
오늘은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한지 1일차가 되는 날이다 ! 오늘은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개념과 여러가지 문법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공부한 것을 토대로 블로깅을 해볼것이다 ! 타입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에 정적타입 검사와 클래스 기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의 기능을 추가하여 개발된 언어 타입스크립트가 왜 필요한가 ?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이 결정되어 유연하고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타입의 명시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존재함. 예를 들어 문자열과 숫자를 더하여 문자열이 되는 것 처럼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동작하는 경우가 많아 예기치 못한 결과를 초래함 ->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입스크립트가 등장하게 됨 ! 타입스크립트 Type Boolean(불리언) 타입 가..
배트리버
리트리버의 개발 놀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