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문제 설명 푸드 파이트 대회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른쪽에 있는 음식부터 왼쪽으로 순서대로 먹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중앙에는 물을 배치하고, 물을 먼저 먹는 선수가 승리하게 됩니다. 이때, 대회의 공정성을 위해 두 선수가 먹는 음식의 종류와 양이 같아야 하며, 음식을 먹는 순서도 같아야 합니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는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먼저 먹을 수 있게 배치하여 선수들이 음식을 더 잘 먹을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이번 대회를 위해 수웅이는 음식을 주문했..
문제 설명 크기가 작은 부분문자열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t="3141592"이고 p="271" 인 경우,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 141, 415, 159, 592입니다.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 159 2개 입니다. 제한사항 1 ≤ p의 길이 ≤ 18 p의 길이 ≤ t의 길이 ≤ 10,000 t와 p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tpresult "3141592" "271" 2 "50022083..
문제설명 두 개 뽑아서 더하기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umbers의 길이는 2 이상 100 이하입니다. numbers의 모든 수는 0 이상 1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numbersresult [2,1,3,4,1] [2,3,4,5,6,7] [5,0,2,7] [2,5,7,9,1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2 = 1 + 1 입니다. (1이 numbers에 두 개 있습니다.) 3 = 2 + 1 입니다. 4 = 1 + 3 입니다. 5 = 1 + 4 = 2 + 3 입니다. 6 = 2 + 4 입..
문제설명 K번째수 문제 설명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
거북이 커피숍 방문한 A와 B씨 .사장님은 한사람씩 주문을 받는다고 했고 먼저 주문한 손님의 커피가 나올 때 까지 나머지 손님들은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사장님은 블로킹을 선언하셨다. (블로킹 : 하나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이어지는 작업을 막는것 ) 거북이 커피숍의 경우 앞 손님의 커피 주문 완료시점과 뒷 손님의 커피 주문 시작 시점이 같습니다 .하나의 커피를 만들 때까지 다른 손님의 주문은 받지 않습니다. 이때를 우리는 동기적이다 라고 합니다! 토끼 커피숍에 방문한 A와 B씨 .사장님은 언제든 주문을 받고 커피가 완성되는 즉시 커피를 제공해준다고 선언하셨다. 토끼 커피숍의 경우는 손님의 커피 주문 완료시점과 뒷 손님의 커피 주문 시작 시점이 같을 필요가 없습니다! 이때를 우리는 비동기적이다 라고..
어제 프로토타입에 대해 공부했었다. 오늘 공부한 프로토타입 체인을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배열을 예로 설명해보겠다. 프로토타입은 객체의 원형으라고 했다. 그래서 우리가 배열을 생성할 때 let arr = [] 이런식으로 배열을 생성해도 내부적으로는 new Array() 같이 생성자 함수로 선언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인스턴스 arr 은 생성자 함수에게서 메소드를 상속받는다. arr 배열 객체의 원형은 Array 임을 알 수 있다. 그럼 객체는 프로퍼티일까 ? 정확히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함수 객체가 가지는 프로토타입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객체 프로퍼티를 통해 상속받는 것이다 ! 따라서 Array.prototype 객체를 살펴보면 배열에서 사용한 메소드들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Ar..
프로토타입이라는 단어는 매우 생소했다. 또한 공부하기도 어려웠다 .. 잘 이해가 안됐던 거같다 ㅜ.ㅜ 조금 더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 그래도 공부해본 프로토타입과 클래스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 프로토타입(Prototype) 프로토타입은 원형 객체를 의미하며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이다.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 ? 모든 객체들이 메소드와 속성들을 상속 받기 위한 템플릿으로써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진다는 의미 프로토타입 객체도 또 상위 프로토타입 객체로부터 메소드와 속성을 상속 받을 수 있고 그 상위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프로토타입 체인이라고 하며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 블로깅때 정리하겠다. 즉 상속되는 속성과 메소드들은 각 객체가 아니라 객체의 생성자의 prototype이라는 속성에 정의되어있..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해 배우고 이를 포함한 큰 개념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웠다. 예전 처음 코딩을 접했을 때 c언어를 배웠었는데 그 후 자바를 배웠을 때 확실히 사용하기 편했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 기억을 떠올려가며 오늘 공부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작성해보겠다 ! 절차적 언어 vs 객체지향 언어 절차적 언어는 별개의 변수와 함수로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객체지향 언어는 데이터의 접근과 ,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모형을 만들어 데이터와 기능이 별개로 취급되지 않고 한 번에 묶어 처리할 수 있다. OOP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의 약자로 프로그램 설계 철학을 의미한다. 모든 것을 객체로 그룹화 하고 4가지 주요 개념을 통해 재사용성을 얻을 수 있다...
어제부터 섹션2가 시작되고 많이 허둥댔다. 내가 전공자가 맞나 ? 싶을정도로 어려운 개념이었던 거같다. 그래서 더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해 배웠다. 다행히 예전에 자바를 공부한 적이 있어서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한 개념들은 머릿속에 잘 들어왔던 거같다. 예전 자바스크립트를 독학할 때 따로 책을 사서 차근차근 공부한 것이 아니라 공식문서를 찾아보고 유튜브를 통해 실전에 사용시 모르는 부분만 공부를 했어서 개념에 대한 이해가 조금은 부족했었다. (배열을 생성할 때 바로 let arr = [] 라고 선언하는 것과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는 것이 같은 것인지 오늘 알게되었다. ㅎㅎ ! ) 서론 끝! 지금부터 클래스와 인스턴스에 대해 공부한 부분을 정리해보겠다 ! 객체..
배만춘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