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ECMA 스크립트)는 표준화된 스크립트 언어이고 ES 뒤에 붙은 숫자는 버전을 의미합니다.
2015년 발행된 ES6는 많은 유용한 기능이 추가됐고 자바스크립트는 이 기술 규격을 따릅니다.
리액트도 자바스크립트 기반 언어이기 때문에 ES6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ES6 문자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pp.js 파일을 생성합니다.
Es6.js 파일을 생성합니다.
기존 자바스크립트에서 줄바꿈을 하려면 개행문자(\n)을 사용해야 합니다.
문자열과 변수를 합치기 위해서는 문자열을 작은 따옴표(또는 큰따옴표)로 감싸고 + 로 연결해야합니다.
따옴표가 아닌 백틱(`)으로 전체 문자열과 변수를 묶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변수명} 형태로 넣고 코드상에서 줄바꿈을 하면 개행 문자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artWith() , endsWith(), includes()는 ES6에 추가된 String 함수들입니다.
startWith()는 변수 앞에서부터, endsWith()는 변수 뒤에서부터 일치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찾습니다.
includes()는 위치에 상관없이 변수에 특정 문자열이 포함돼 있는지 판단합니다.
함수 조건에 부합하면 true, 부합하지 않다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이제 콘솔창을 열어 결과를 확인해볼까요 ?
짜잔 !
오늘도 즐공!!
'리액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 전개 연산자 사용하기 (0) | 2023.02.02 |
---|---|
리액트 var , let , const 사용하기 (0) | 2023.01.28 |
리액트 생명주기함수 shouldComponentUpdate() 사용하기 (0) | 2023.01.25 |
리액트 생명주기 함수 다이어그램 (0) | 2023.01.24 |
리액트 생명주기 함수 componentDidMount() 사용하기 (0) | 2023.01.24 |